상간자 소송에서 변호사와 피해자 생각이 다른 이유
상간자 소송을 진행하다 보면 피해자와 변호사 사이에 의견 차이가 발생합니다.
이건 누가 맞고 틀린 문제가 아니라 각자의 목표와 우선순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변호사는 법적 리스크 최소화와 판결금 극대화를 우선하고,
피해자는 감정 회복과 응징, 정의 구현을 더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오늘은 변호사가 잘 말하지 않는 맞소송, 구상권, 가압류, 직접 응징에 대해 실전 경험과 함께 분석하겠습니다.
맞소송의 개념과 주의사항
맞소송은 내가 상대방 상간녀·상간남을 소송했을 때, 그쪽 배우자가 내 배우자를 상대로 동일한 소송을 제기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맞소송이 불리할 수 있는 경우
- 혼인 기간 차이로 위자료 액수가 역전될 수 있음
- 상대방 이혼 여부에 따라 위자료가 더 높게 책정될 수 있음
- 내가 잡은 증거를 그대로 복사해 이용당할 수 있음
변호사가 미리 말하지 않는 이유
모든 사건에 맞소송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고,
상대방이 숨기거나 포기하는 경우가 많아 불필요한 불안을 주지 않기 위해서입니다.
맞소송이 들어왔다면 이제 법정에서 양측이 치열하게 싸우게 되고,
이는 바람의 대가를 확실히 치르게 하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구상권 청구란 무엇인가
구상권은 상간녀·상간남이 내 배우자에게 위자료 일부를 청구하는 권리입니다.
구상권이 발생하는 이유
바람은 함께 했는데 왜 나만 돈을 내야 하냐는 논리로,
위자료 절반 부담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모든 사건에서 구상권이 제기되는 것은 아님
- 금액이 적어 소송 실익이 없는 경우
- 사건을 조용히 마무리하려는 경우
- 배우자가 이미 위자료를 지급한 경우
구상권은 피해자 본인이 아니라 배우자에게만 제기됩니다.
배우자에게도 상당한 압박과 스트레스를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일종의 응징 효과가 있습니다.
가압류의 의미와 실익
가압류는 소송 중 상대방의 재산(부동산, 차량, 급여, 통장 등)을 묶어두는 절차입니다.
변호사가 권장하지 않는 이유
- 상간자 소송 금액이 적어 기각 가능성이 있음
- 급여·계좌 가압류 시 공탁금 40%를 맡겨야 함
- 판결 후 본압류 이전 절차가 번거로움
피해자가 하고 싶은 이유
- 부동산 등기부등본에 내 이름이 올라가는 심리적 보상
- 상대방 직장에서 망신을 주는 효과
재판부 인용 가능성이 높고 실익이 뚜렷하다면 가압류는 강력한 압박 카드가 될 수 있습니다.
상간자 직접 응징의 위험과 유혹
직접 찾아가 응징하는 행동은 대부분 변호사가 강력히 말립니다.
변호사가 말리는 이유
- 판사가 정신적 피해가 이미 해소됐다고 판단해 판결금이 줄어들 수 있음
- 폭행으로 형사 고소·벌금 부과 가능성
피해자가 하고 싶은 이유
- 돈보다 억울함 해소와 자존감 회복이 우선
- 당한 만큼 되갚고 싶은 강한 욕구
주의사항
- 폭행 시 본인도 부상 증거 확보
- 심각한 상해는 절대 금지
- 공개적인 장소에서 한 번만 강력하게
변호사와 피해자 입장을 조율하는 방법
- 사건 진행 전, 가능한 모든 변수를 질문하기
- 감정적 만족과 법적 실익을 분리해 판단하기
- 변호사와의 커뮤니케이션 기록을 남겨 오해 방지
결론
맞소송, 구상권, 가압류, 직접 응징은 모두 가능성이 있지만 100%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변호사와 피해자의 입장 차이를 이해하고, 사전에 모든 시나리오를 고려해야 합니다.
감정 해소와 실익을 구분하고, 전략적으로 접근한다면 상간자 소송에서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https://cafe.naver.com/ptsgcafe
외성-외상후 성장, 아픔을 성장의 계기로 : 네이버 카페
남편바람, 아내바람. 불륜, 외도, 이혼 등 정보공유, 상간소송, 상간녀소송, 상간남소송 자료, 외도증거
cafe.naver.com